싱가포르 vs 한국 비교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승용차, 누가 더 비쌀까요?

moneygame10 2025. 2. 17. 23:09
320x100

싱가포르의 차량 가격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현대 쏘나타의 가격은 한국보다 1.5억원 이상 비쌉니다, 말도 안되는 가격에 팔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떠한 사연이 있어서 이토록 차량 가격이 비싼지 2000cc 세단의 가격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싱가포르는 자체 차량 메이커가 없으며 모든 차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1. 벤츠, 아우디, 현대, 기아 차량 가격 비교

  • 싱가포르: 싱가포르에서 차량 가격은 기본 차량 가격 외에도 다양한 세금과 높은 비용이 추가됩니다. 특히, 차량 소유권 증서인 COE(Certificate of Entitlement) 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023년 기준, 1600cc 이상 중대형 자가용의 COE 가격은 약 150,000 싱가포르 달러(약 1억 5000만 원)입니다. 예를 들어, 현대 쏘나타의 경우 COE를 포함한 총 가격이 약 190,000 싱가포르 달러(약 1억 9000만 원)입니다.
  • 한국: 한국에서 2000cc 세단의 가격은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00만 원에서 6,000만 원 사이입니다. 예를 들어, 현대 쏘나타나 기아 K5의 경우 기본 모델이 약 3,000만 원대에서 시작하며, 메르세데스-벤츠나 아우디의 중형 세단은 5,000만 원에서 6,000만 원대의 가격대를 형성합니다. 차량만 놓고보면 한국이 훨씬 살기 좋은 나라입니다.

 
2. 싱가포르 차량 가격이 높은 이유

앞에서도 잠시 언급한 다양한 세금/비용 및 정부의 차량 수 제한 정책 때문입니다.

  • COE(Certificate of Entitlement): 싱가포르는 제한된 국토면적과 혼잡한 교통을 관리하기 위해 COE 제도를 도입하여 차량 수를 통제합니다. COE는 차량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증서로, 10년간 유효합니다, 즉 10년이 지나면 또 다시 그 권리를 사야합니다, 말도 안되는 경제적 부담입니다. COE는 경매를 통해 발급되며, 수요와 공급에 따라 그 가격이 변동됩니다. 2023년 기준, 중대형 차량의 COE 가격은 약 150,000 싱가포르 달러(약 1억 5000만 원) 입니다.
  • 세금 및 관세: 싱가포르는 자동차에 대해 특별소비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3. 싱가포르 차량 구입 시 대출 방법

싱가포르에서 차량을 구매할 때는 금융 기관을 통해 대출을 받습니다. 차량 가격이 말도 안되는 금액이라 대출없이는 차량을 구매할 수 없습니다. 대출 한도는 차량의 개별 평가 가격(OMV, Open Market Value)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OMV의 60~7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 기간은 최대 7년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출 이자율은 금융 기관과 개인의 신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싱가포르에서 차량은 부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특히나 유럽 고급차는 더욱 그러합니다.
 

 
4. 싱가포르 승용차 대수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and Transport Authority, LT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싱가포르에 등록된 자동차 수는 약 64만 7,000대입니다. 이는 10년 전 대비 6%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렇게 과도한 통제와 높은 가격임에도 차량 수는 점차 증가합니다, 아무래도 외국인의 유입, 특별히 중국 본토 및 홍콩 중국인들의 이민이 그 원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싱가포르 정부는 2018년부터 '자동차 증가율 0% 정책'을 도입하여 차량 등록 대수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습니다)
  

 

5. 싱가포르에서 인기 있는 차량 브랜드

싱가포르에서는 유럽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와 같은 브랜드의 인기가 높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아주 부자가 아니더라도 이런 럭셔리 브랜드의 차를 타고 다닙니다. 정말로 찐부자는 롤스로이스, 벤틀리, 포르쉐를 타고 다니며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싱가포르는 부자나라의 이미지가 심어진 것은 아닌가 생각됩니다. 특히, 메르세데스-벤츠는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브랜드인 토요타와 혼다도 신뢰성과 연비 효율성을 바탕으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6. 현대, 기아차의 인기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싱가포르에서 택시 시장을 중심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도로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2016년 상반기 기준, 싱가포르에서 운행되는 택시 약 28,193대 중 약 59%인 16,508대가 현대자동차의 차량(NF 쏘나타, i40, 2세대 i30 모델)입니다.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는 2010년부터 7년 연속 싱가포르 택시 시장 1위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2023년 상반기 기준으로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557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했습니다. 특히, 현대자동차는 전년 동기 대비 182.6% 증가한 941대를 기록하며, 싱가포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7. 싱가포르 택시 

싱가포르의 택시 시장은 현대자동차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2007년 NF 쏘나타 택시 공급을 시작으로, 현대자동차는 싱가포르 최대 운수기업인 컴포트델그로(ComfortDelGro)와의 협력을 통해 택시 공급을 지속해왔습니다. 2016년에는 컴포트델그로에 최대 3,500대의 i40 세단 택시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는 단일 계약으로는 최대 규모였습니다.
이러한 협력의 결과, 2016년 상반기 기준으로 싱가포르 전체 택시 중 약 59%가 현대자동차의 차량으로 구성되었으며, 현대자동차는 2010년부터 7년 연속으로 싱가포르 택시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 개인적으로 현대, 기아 자동차의 택시를 도로에서 볼 때마다 무한한 자부심을 느낌니다)


결론적으로 싱가포르에서의 차량구입 가격은 한국보다 월등히 비쌉니다. 주요 원인은 차량구입에 부과되는 COE가 원인입니다. 높은 가격의 차량을 구입하기 위해 연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차량을 구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웃기는 얘기이지만 현대 쏘나타를 운전하더라도 같이 달리는 차들이 대부분 유럽 럭셔리 브랜드라 마치 나도 고급차를 운전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킬 때가 있습니다, 행복한 환타지였습니다.

 

이상으로 싱가포르와 한국의 승용차 가격을 비교해 봤습니다.

 

(참조)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서울의 지하철, 누가 더 길까요?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서울의 지하철, 누가 더 길까요?

땅속의 두더지인 지하철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한 국가의 경제력, 기술력, 문화적 자부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의 선조가 말을 타고 다니던 그 옛날 조선시대에, 지구 반대편

moneygame10.tistory.com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