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싱가포르에서 가장 큰 국가행사는 '독립기념일(National Day) 퍼레이드' 입니다.
하늘에서는 공군의 에어쇼와, 땅에서는 육군의 전차 행진이 펼쳐집니다. 공식 행사는 8월 9일이지만, 3주 전부터 리허설이 진행되기 때문에 준비과정을 매일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싱가포르에 와서는 이렇게 작은 나라에도 '군대'가 있다는 점에 놀라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군대의 규모, 국가의 투자 그리고 강력한 입영제도를 알게되면서, 돈 많은 작은나라가 아닌 자주국방 의지가 분명한 아주 강한 나라임을 알게 됐습니다 (아주 작은 매운 고추).
오늘은 싱가포르와 한국의 군대 규모와 기본적인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전 략
- 싱가포르는,국토가 작아 만약 공격을 받게 되면 손쓸 틈도 없이 순식간에 폐허로 변합니다, 그래서 방어보다는 적을 먼저 공격한다는 전략이 기본 바탕입니다. 또한, 전투기, 군함 등의 전략무기는 미국, 호주, 영국 등에 일부 배치하여 유사시 Back Up 플랜으로 활용합니다.
- 한국은,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를 고려해 절대적으로 강력한 전력을 유지하며, 미국/일본과의 동맹을 통해 방어 체계를 강화합니다. KAMD(한국형 미사일 방어 체계) 구축 및 미군과의 합동 훈련을 통해 실전 대응 능력을 강화합니다. 시도때도 없이 동해상에 탄도미사일을 쏘아대는 북한의 위협에 대비해 방어체계를 운용하며, 한미연합작전을 통한 전술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 전략입니다.
2. 입영제도
- 싱가포르는, 모든 남성 시민과 영주권자가 만 18세에 입대해야 하며, 복무 기간은 육군 22개월, 해군 및 공군 24개월입니다. 전역 후에도 예비군으로 훈련을 지속하며, 예비군 동원 훈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위기 상황에 대비합니다.
- 한국은, 징병제를 시행하며, 만 18세부터 병역 의무 대상입니다. 복무 기간은 육군 18개월, 해군 20개월, 공군 21개월이며, 전역 후에도 예비군으로 훈련을 받습니다 (남자들은 제대후에도 입대하는 꿈을 10년간 꾸게 됩니다). 병력 감축이 진행 중이며, 첨단 무기와 자동화 시스템을 적극 도입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3. 공 군
- 싱가포르는, F-15SG, F-16C/D, F-35B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G550 AEW조기경보통제기와A330 MRTT공중급유기를 운영합니다.협소한 국토로 인해 미국, 호주, 영국 등에 해외 기지를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투기의 지속 작전 능력을 확보했습니다. 전자전 및 정보전 능력을 강화하여 실시간 전장 인식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한국은, F-35A, F-15K, KF-16 전투기를 운용하며, E-737 피스아이 조기경보통제기와 KC-330 공중급유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지는 오산, 청주, 서산 등에 있으며, 항공 전력의 현대화를 위해 KF-21 보라매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 공군은 적의 장거리 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공중 방어망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드론과 스텔스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4. 해 군
- 싱가포르는, 포미더블급 호위함, 인빈시블급 잠수함을 운용하며, 창이 해군기지를 중심으로 해상 방어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소형 국가 특성을 고려해 고속 타격 함정과 연안 방어 전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상 감시와 신속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 한국은,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독도급 상륙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산, 진해, 동해 기지를 중심으로 운영합니다. 항모급 전력 강화를 위해 경항공모함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대잠전 능력 강화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한국 해군은 동북아 해양 안보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며, 해상 작전 능력 강화를 위해 다목적 수상함과 무인 해양전력을 개발 중입니다.
5. 육 군
- 싱가포르는, 레오파르트 2SG 전차, SSPH 1 피오니어 자주포, 스파이크 ATGM을 운용하며, 약 4만 5천 명의 병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동성과 신속성을 중시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도시전 및 정글전 훈련을 강화하고 있으며, 정보전 및 네트워크 중심 전투 개념을 확대 적용하고 있습니다.
- 한국은, K2 흑표 전차, K9 자주포, 현무 미사일을 운영하며, 약 42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신 전차와 자주포 전력 강화를 지속하며, 드론봇 전투체계와 인공지능(AI) 기반 전술 운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육군은 비무장지대(DMZ)에서의 감시 능력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기동성 강화를 위해 차세대 장갑차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6. 결 론
구분 | 한 국 | 싱가포르 |
총 병력 | 약 560,000명 | 약 62,000명 |
공군 병력 | 약 65,000명 | 약 8,000명 |
전투기 | 약 400대 | 약 100대 |
해군 병력 | 약 70,000명 | 약 9,000명 |
이지스 구축함 | 3척 (준이지스함 20대) | 6척(호위함) |
잠수함 | 18척 | 4척 |
육군 병력 | 약 420,000명 | 약 45,000명 |
주요 전차 | K1/K2 전차 (약 2,800대) | 레오파르트 2SG (190대) |
주요 미사일 | 현무 미사일, 천궁 | 스파이크 ATGM |
장거리 방어체계 | KAMD 구축 중 | 미국 THAAD 활용 |
싱가포르는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에 가는 것이 아니라 군대를 갑니다.
군 복무를 마친 후에야 대학에 진학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한국보다 강력한 제도입니다. 아마도 통제국가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아침 출근길 엘리베이터 안에서 고등학생 티가 나는 군인아저씨를 자주 만납니다. 대부분 출퇴근 형식으로 복무합니다.
워낙 나라가 작다보니 군 숙소시설도 부족하고, 집에서 출퇴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생각한 듯 합니다. 이 점은 참으로 부럽습니다. 한국에서는 군에간 아들을 만나기 위해 면회도 가는데, 싱가포르는 매일 저녁 아들을 만납니다.
두 나라가 처한 상황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군사력 규모만으로 누가 더 싸움을 잘하느냐 비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굳이 비교하자면, 한국의 군사력 순위는 6위, 싱가포르는 29위입니다. 서울 크기의 작은 나라임에도 군사력 순위가 상당히 높습니다. 두 나라 모두 국방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히 두 나라의 군대를 비교했습니다.
(참조)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서울의 지하철, 누가 더 길까요?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서울의 지하철, 누가 더 길까요?
땅속의 두더지인 지하철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한 국가의 경제력, 기술력, 문화적 자부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의 선조가 말을 타던 그 옛날 조선시대에, 지구 반대편 영국에
moneygame10.tistory.com
320x100
'싱가포르 vs 한국 비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주식시장, 누가 더 롤러코스터 인가요? (37) | 2025.03.13 |
---|---|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교도소, 누가 더 엄격할까요? (46) | 2025.03.11 |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사이다, 누가 마법의 음료일까요? (44) | 2025.03.05 |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맥주, 소맥용 맥주의 최강자는 누구일까요? (42) | 2025.03.04 |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공연장, 누가 더 특이하게 생겼을까요? (21)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