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vs 한국 비교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얼큰한 국물, 술 마신 다음날 누가 더 좋나요?

moneygame10 2025. 4. 2. 18:56
320x100

싱가포르의 락사와 한국의 짬뽕은 국민적인 사랑을 받는 대표적인 면 요리입니다. 얼큰하고 중독성 강한 국물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비 오는 날 또는 술 마신 다음날 꼭 생각나는 음식입니다. 

해장이 중요한 분들이라면 무척 좋아할 '락사'와 '짬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싱가포르, 락사 (Laksa)

락사는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대표적인 면 요리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발전했습니다. 락사의 기원은 15세기 무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중국계 해상 상인들이 동남아시아로 이주하면서 현지의 향신료와 중국식 면 요리를 결합해 락사가 탄생했습니다. 싱가포르에서는 코코넛 밀크를 기반으로 한 ‘카통 락사’가 대표적입니다.

  • 카통 락사: 싱가포르 카통 지역의 락사로, 코코넛 밀크가 들어가 진하고 고소하며 짧은 면을 사용
  • 페낭 락사: 말레이시아 페낭 지역의 락사로, 생선 국물에 타마린드와 해 코(새우를 발효시켜 만든 매콤한 검은색 페이스트)를 넣어 신맛과 매운맛이 강함
  • 케다 락사: 말레이시아 케다 지역의 락사로, 생선 국물에 건면을 사용하고 삶은 달걀을 올림
  • 사라왁 락사: 말레이시아 사라왁 지역의 락사로, 새우와 닭 육수 베이스에 타마린드와 벨라찬이 들어가 새콤매콤한 맛

락사는 진한 코코넛 밀크의 고소함과 향신료의 풍미가 조화를 이루며살짝 단맛과 매운맛이 어우러지는 것이 특징입니다해산물과 허브가 어우러져 독특한 감칠맛을 내며걸쭉한 국물 덕분에 더욱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락사 페이스트를 기름에 볶아 향을 내준다.
  • 육수(새우 껍질이나 닭 육수)를 넣고 끓인다.
  • 코코넛 밀크를 추가하여 걸쭉한 국물을 만든다.
  • 삶은 라이스 누들을 그릇에 담고 국물을 부어준다.
  • 새우, 두부튀김, 삶은 달걀, 숙주 등을 올린 후 코리앤더를 뿌려 완성한다.

영양분

  • 칼로리: 600~800kcal (코코넛 밀크와 튀긴 두부로 인해 비교적 높음)
  • 단백질: 새우, 닭고기 포함
  • 지방: 높은 편 (코코넛 밀크와 기름 때문)
  • 탄수화물: 라이스 누들 포함
  • 비타민과 미네랄: 숙주나물과 향신료에서 공급

유명식당

  • 328 카통 락사 (328 Katong Laksa): 싱가포르에서 가장 유명한 락사 전문점, 고든 램지가 극찬
  • 순게이 로드 락사 (Sungei Road Laksa): 숯불로 끓인 국물이 특징
  • 장굿 락사 (Janggut Laksa): 싱가포르 락사의 원조

 

 

 

2. 한국, 짬뽕

짬뽕은 한국식 중국요리(중화요리)의 대표적인 메뉴 중 하나입니다. 유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일본 나가사키의 ‘짬뽕’(ちゃんぽん)이 한국에 전해져 변화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한국의 중국인 이민자들이 부산과 인천을 중심으로 발전시켰다고 합니다. 한국의 짬뽕은 일본식 짬뽕과 달리 매운 고추기름과 해산물을 사용하면서 차별화되었습니다.

  • 한국식 짬뽕: 고추기름과 해산물을 사용해 얼큰하고 칼칼한 맛이 특징이며, 돼지고기, 오징어, 홍합 등을 넣어 감칠맛을 강함
  • 나가사키 짬뽕: 일본 나가사키에서 유래한 짬뽕으로, 돼지고기와 해산물을 기본으로 한 맑고 순한 국물
  • 삼선짬뽕: 삼선(三鮮)은 세 가지 신선한 해물을 뜻하며, 새우, 전복, 해삼 같은 고급 해산물이 들어가 풍미가 좋음
  • 백짬뽕: 고추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맑은 닭 육수나 해물 육수를 사용해 담백하고 순한 맛 강조
  • 굴짬뽕: 굴을 주재료로 하여 바다향이 진하게 나는 짬뽕으로, 시원하고 고소한 국물이 특징

짬뽕은 얼큰하고 진한 감칠맛이 특징입니다. 고추기름과 해산물에서 우러나온 깊은 국물 맛이 매력적이며불맛이 더해지면 한층 더 강렬한 풍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 팬에 고추기름을 두르고 돼지고기와 해산물을 볶아 향을 낸다
  • 양배추, 양파, 당근을 넣고 함께 볶는다
  • 육수를 부어 한소끔 끓인다
  • 면을 삶아 그릇에 담고 국물을 붓는다
  • 마지막으로 대파를 올려 마무리한다

영양분

  • 칼로리: 500~700kcal
  • 단백질: 돼지고기와 해산물 포함
  • 지방: 고추기름 사용으로 중간 정도
  • 탄수화물: 밀면 포함
  • 비타민과 미네랄: 채소에서 공급

유명식당 (전국에 100대 맛집 널려있음)

  • 군산 복성루 (중앙로 175): 원조 짬뽕, 진한 국물 맛이 특징.
  • 공주 동해원 (동해길 17): 맑은 국물의 짬뽕으로 유명.
  • 강릉 교동반점 (임영로 153): 불맛이 강한 짬뽕.
  • 대구 진흥반점 (서성로 10): 닭 육수 베이스의 깊은 국물.
  • 송탄 영빈루 (평택시 중앙로 261): 고추기름이 강한 정통 짬뽕 맛

 

 

 

3. KBS 다큐멘터리, 누들로드 (Noodle road)

2008년 방영된 6부작 다큐멘터리로, 전 세계 국수의 기원과 발전을 다루었습니다. 

  • 중국계 미국인 요리사 켄 홈이 진행을 맡았으며, 독창적인 영상미와 빠른 전개로 주목받았습니다.
  • 높은 완성도로 2009년 한국방송대상 대상을 수상하고, 같은 해 책으로도 출간되기도 했습니다.
  • 그러나 한국 국수의 비중이 낮고, 개별 국수 문화를 단순 나열하는 방식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상당히 훌륭한 작품입니다.

 

 

술마신 다음 날 해장은 매우 중요합니다.

 

해장 음식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속을 편안하게 하면서도 빠르게 개운한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것입니다. 이 점에서 짬뽕은 락사보다 더 적합합니다.

 

짬뽕의 매운 국물은 땀을 나게 하면서 알코올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주고, 뜨거운 국물은 소화 기능을 활성화하여 위를 편안하게 합니다. 또한 해산물과 채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영양적으로도 균형이 잘 맞습니다.

 

반면, 락사는 코코넛 밀크의 특유의 진한 맛이 숙취로 지친 몸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물론 개인의 기호에 따라 락사의 부드러운 맛이 위를 더 편안하게 해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해장에는 칼칼하고 개운한 국물이 더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술을 마신 다음 날 개운한 해장을 원한다면 짬뽕이 더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아주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었습니다.

 

 

(참조)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냄새나는 음식, 누가 더 지독할까요?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냄새나는 음식, 누가 더 지독할까요?

싱가포르의 7~8월경에는 버스안에서 이상한 '똥냄새'가 납니다. 집으로 가는 길에서도 좀 전에 맡았던 그 냄새가 또 납니다. 콘도 정문을 통과해서 집으로 들어서는 순간, 옆집에서도 바로 그 '똥

moneygame10.tistory.com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