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싱가포르 vs 한국 비교 54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서울의 시장 음식, 누가 더 감성적일까요?

싱가포르는 전 세계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미식의 도시로,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부터 저렴한 길거리 음식까지 스펙트럼이 매우 넓습니다. 특히 '호커센터'는 합리적인 가격에 수준 높은 음식을 제공하는 곳으로, 싱가포르 사람들이 하루에 한번 이상은 무조건 방문하는 집밥 식당과 같은 곳입니다. 오늘은 싱가포르의 호커센터와 서울의 전통시장을 비교해서 어떠한 특징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호커센터 (Hawker Centre)'호커(Hawker Centre)'란 거리음식을 파는 행상을 의미합니다. 1970년대 리콴유 수상은 거리 정화사업 일환으로 호커들이 한군데 모여 장사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센터를 여러 곳 만들었습니다. 현재 110군데의 호커센터가 있으며 주로 일반 서민들이 주거하는 HDB(공공..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영어, 누가 더 잘할까요?

싱가포르에는 '싱글리쉬' 라는 독특한 억양의 영어가 있고, 한국에는 한국인이 창조한 영어단어를 섞어서 사용하는 '콩글리쉬'라는 영어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싱글리쉬와 콩글리쉬가 원어민에게 어떻게 들리고 평가받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용어의 정의 싱글리쉬: 싱가포르에서 사용되는 독특한 영어 방언으로, 영어와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등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싱글리쉬는 일상 대화에서 사용되지만, 공적인 환경에서는 표준 영어를 구사합니다. 원어민의 시각에서 싱글리쉬는 발음과 문법에서 차이가 나며, "lah", "lor", "leh" 등의 어미가 특징입니다. 콩글리쉬: 콩글리쉬는 한국어와 영어가 결합된 언어 형태로, 주로 영어 단어를 한국어 문법에 맞추거나 발음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동상, 누가 더 멋지나요?

싱가포르의 마스코트는 '멀라이언(Merlion, 사자의 얼굴과 물고기의 몸통)' 동상입니다. 주요 관광지 4곳에서 하루 24시간 물을 뿜어대면서 관광객을 맞이 합니다. 관광객이라면 거의 100%, 멀라이언과 함께 사진을 찍습니다. 다양한 포즈의 사진이 인터넷 사이트에 넘쳐납니다, 거의 성지순례 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한국은 이 정도로 인기있는 동상이 있을까 찾아보니 역시나 2개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광화문을 넘어 대한민국을 든든히 지키고 계신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 동상입니다. 오늘은 싱가포르의 '멀라이언 동상' 과 한국의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 동상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싱가포르의 '멀라이언(Merlion)' 동상'멀라이언'은 사자의 머리와 물고기의 몸을 가진 조형물입니다. 1964년 싱..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토스트, 누가 더 맛있을까요?

싱가포르의 '토스트박스(Toast Box)'라는 케주얼 식당에 가면 그 유명한 '카야 토스트 (Kaya Toast)'를 맛볼 수 있습니다. 현지인이 즐겨먹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한국 관광객 또한 성지순례 코스로 반드시 방문해서 먹어보는 메뉴입니다. 오늘은 '카야 토스트'의 위상에 버금가는 한국의 '이삭 토스트 (Isaac Toast)'와 비교하여, 누가 더 맛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브랜드 역사 및 창업자'카야 토스트'는 싱가포르의 전통적인 아침 식사로, 하이난 출신 이민자들이 영국식 토스트와 잼을 변형하여 만든 요리입니다. 195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코코넛 밀크와 계란, 설탕 등을 사용해 만든 '카야 잼'이 맛의 핵심입니다. 한국 관광객들은 카야 잼을 기념품으로 구매하기도 합니다. 선물용으로 아..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Tea 브랜드, 누가 더 오래됐을까요?

'차(Tea)'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거나 또는 아주 좋아하지는 않지만, 봉지 커피의 느끼함에 질리거나 전날 과음을 했을때는 가끔 차를 마시곤 합니다. 싱가포르에서 처음 만난 'TWG 1837'이라는 브랜드는 알록달록한 포장이 눈길을 끄는 딱 봐도 부티나는 차입니다. 한국에서 유명한 '오설록'과는 살짝 결이 다릅니다. 그래서 오늘은 두 브랜드의 특징을 비교하여 누가 더 역사와 전통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브랜드의 시작과 의미 'TWG'는 2008년 싱가포르에서 탄생한 프리미엄 차 브랜드이며 전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차가 아니라, 고급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이 마케팅 포인트입니다. 브랜드명인 'TWG'는 ‘The Wellbeing Group’의 약자이며, 이름..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커피 브랜드, 누가 더 유명할까요?

한국 신문에서 "커피계의 에르메스,,, '싱가포르 바샤 커피 (Bacha Coffee 1910)',,, 드디어 한국 유명 백화점 입점' 이라는 기사를 봤습니다. 주로 맥심 봉지커피를 먹고, 어쩌다 가끔 '스타벅스'나 '블루보틀'을 마시는 입장에서는 처음 들어보는 브랜드였습니다. "싱가포르 명품 브랜드라는데 지금까지 나만 몰랐나 !!" 라는 자책을 하며 구글 검색 사진을 찾아보니, 오차드 백화점과 공항에서 얼핏 본 매장의 사진이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국의 저가 커피 3대장인 '메가커피, 컴포즈 커피, 빽다방'과 비교해서 누가 더 유명한지 살펴보겠습니다. 1. 싱가포르의 커피 ☞  '바샤 커피 (Bacha Coffee 1910)'Bacha Coffee는 2019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고급 커피 브랜드로..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산, 누가 더 높을까요?

싱가포르는 말레이 반도의 끝부분에 위치한 작은 섬나라입니다. 과연 이 작은 섬에도 '산'이라는 것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지만, 알고보면 아주 높은 산이 있습니다. 오늘은 예전에 주말마다 아이들과 함께 올라갔던 '부킷티마 정상 (Bukit Timah Summit)' 을 소개할까 합니다. 싱가포르 vs 한국의 가장 높은 산싱가포르에서 가장 높은 산은 '부킷 티마 정상(Bukit Timah Summit)'으로 해발 164m 입니다.  한국의 유명한 산인 '한라산(1,947m), 지리산(1,915m), 설악산(1,708m)'과 비교하면 매우 낮습니다, 높이가 1/10 밖에 되질 않습니다. 한국의 산들은 사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웅장한 산맥을 이루고 있지만, 싱가포르의 부킷 티마 정상은 '부킷 티마 자연보호..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상속세, 누가 더 많을까요?

100억 원을 가진 자산가가 사망할 경우 싱가포르와 한국의 상속세는 얼마나 될까요?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싱가포르는 상속세가 없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과세표준에 따라 10~50%의 상속세를 부과하며, 최대주주 주식 상속 시에는 최고 60%까지 적용합니다. 싱가포르에 비하면 엄청나게 과한 수준이긴 합니다. 그러다가 문득, "이럴거면 이민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네,,,,!!" 라는 생각이 들어 뉴스를 검색해 봤습니다.  그럼 그렇지,,,"최근 한국의 슈퍼리치가 상속세를 피하기 위해 싱가포르 이민을 많이 간다"는 뉴스가 여럿 나왔습니다. 상속세 때문에 싱가포르 이민이 늘고 있다는 동일한 결론의 기사입니다.   한국경제신문 (2024.10.21)[단독] 상속세 공포...싱가포르 이민 두배로싱가포르, 상속,증여,..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서울의 지하철, 누가 더 길까요?

땅속의 두더지인 지하철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한 국가의 경제력, 기술력, 문화적 자부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의 선조가 말을 타던 그 옛날 조선시대에, 지구 반대편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의 런던 지하철이 1863년 개통했으며, 뒤를 이어 1904년에는 미국의 뉴욕 지하철이 개통했습니다. 하다못해 일본마저도 1927년에 지하철을 가진 나라가 됐으니, 예나 지금이나 지하철의 상징성과 존재감은 어마무시합니다.그러나 초등학교를 수석 입학했다고 고등학교 또한 수석 졸업한다는 보장이 없듯이, 현재의 지하철 선진국은 바로 한국과 싱가포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비슷한 크기의 두 도시에 어떠한 지하철 시스템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싱가포르 (243 km)서울 (327 km)  1. 개요 및..

(싱가포르) 싱가포르 vs 한국의 만병통치약, 누가 더 약발이 좋을까요?

만병통치약은 말 그대로 '모든 병'을 낫게 하는 '약' 입니다. 물론 그런 약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지만, 오래 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만병통치약과 같은 느낌을 주는 약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약은 너무나도 유명한 싱가포르의 '호랑이 연고'와 한국의 '안티푸라민' 입니다. 싱가포르의 '호랑이 연고'한국의 '안티푸라민'  1. 창시자호랑이 연고창시자: 중국계 화교 아우 초 킨(Aw Chu Kin)제조사: 호 켕(Khaw Kheng) 제약사 → 호랑이 연고 인터내셔널(Tiger Balm International, 현재 Haw Par Corporation)1870년대 미얀마(버마)에서 한약재상을 운영하던 아우 초 킨이 개발했으며, 이후 그의 두 아들 아우 분 파(Aw Boon Haw) 와 아우 분 파..

320x100